본문 바로가기

Trip

[ Masion La Roche ] 빌라 라로슈

 

 

 

프랑스 파리에 간 김에 들러보려고 했던 빌라 라로슈이다. 파리 파업때문에 숙소에서 30분 떨어진 거리지만 어쩔 수 없이 우버를타고 갔다. 파리 16구는 분위기가 사뭇 달랐다. 빌라 사보아를 가려했지만 파업때문에 못갔는데 빌라 라로슈라도 방문해서 다행이라고 느꼈다. 빌라 사보아보다 8년 더 빠른 1923년에 지어졌다고 한다. 

 

 

It is Villa La Roche who tried to stop by while in Paris, France. Because of the strike in Paris, it was 30 minutes away from our accommodation, but we had to take Uber. The 16th district of Paris had a very different atmosphere. I tried to go to Villa Savoa, but I couldn't go because of the strike, so I felt lucky to visit Villa La Roche. It was built in 1923, eight years earlier than Villa Savoy.

 

 

 

Corbusier Haus/ Le Corbusier.  2020.01.04 빌라 라로슈 방문기 ]

 

[Corbusier Haus/Le Corbusier. 2020.01.04 Villaroche Visitor ]


 

 

 

[ Le Corbusier의 Maisons La Roche at Jeanneret ]

프랑스 파리에 위치한 라 로슈 저택은 스위스 출신의 은행가이자 아방가르드 아트 컬렉션이었던 라오율과 로슈를 위해 설계한 집이다. 프랑스에서 선보인 세 번째 작품으로 샤를로트 페리앙과 협업하여 집안을 채울 가구까지 직접 디자인했다. 곡선과 직선의 건축물이 한데 어우러지는 콘크리트 건축물로 지금은 르코르뷔제 재단으로 사용 중인데 약 8000점의 오리지널 드로잉과 모형을 상설 전시한다고 한다. 라로슈는 예술 애호가이다. 그가 모은 그림과 조각이 많아지면서 예술품을 전시하는 공간이 절실해졌다. 따라서 라 로슈는 르코르뷔제 예술품과 자신이 살 수 있는 집을 주문했다. 

반면 잔느레는 피아니스트로 아내와 딸들이 함께 살 공간으로 주택이 필요했다. 따라서 붙어있는 이 두 개의 집은 전혀 다른 성격과 목적으로 전혀 다른 평면을 가진 채 하나로 붙어서 지어졌다. 

라 로슈는 르코르뷔제와 오장팡의 그림을 많이 샀으며, 나중에는 이 집을 르코르뷔제 유산으로 남기면서 르코르뷔제가 자신의 재단을 만들 수 있도록 해줬다. 라 로슈가 수집할 미술품들이 전시되었던 곳으로 건축산책 개념이 실현된 첫번째 주택이었다. 

 

The La Roche House, located in Paris, France, was designed for the Swiss banker and avant-garde art collection, Laoyul and Roche. This is the third work presented in France, collaborating with Charlotte Perian to design her own furniture to fill the house. It is a concrete building where curved and straight buildings blend together, and is now used as a Le Corbusier Foundation, and about 8,000 original drawings and models are said to be on permanent display. La Roche is an art lover. As the number of paintings and sculptures he collected increased, he desperately needed a space to display his artworks. Therefore, La Roche ordered Le Corbusier's artwork and a house where he could live. 

Jannere, on the other hand, was a pianist and needed a house for his wife and daughters to live together. Therefore, the two houses were built in one place with completely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completely different planes for purposes. 

La Roche bought many paintings of Le Corbusier and Ojangfang, and later left the house as a legacy of Le Corbusier, allowing Le Corbusier to create his own foundation. It was the first house where the concept of architectural walk was realized where the artworks to be collected were displayed. 

 

 

라로슈 건물 오른쪽 건물은 르 꼬르뷔제가 친형 가족을 위해 만든 빌라 잔느레. 두 곳중 빌라 라 로슈만 현재 관람이 가능하다. 빌라 잔느레는 르 코르뷔제의 오피스로 사용되는 것 같았다.

The building on the right side of La Roche building is a villa that Le Corbusier built for his brother's family. Of the two, only Villa La Roche is currently available. Villar Jannere seemed to be used as Le Corbusier's office.

유네스코에 등재되어있다.

It is listed on UNESCO.

필로티 위에 둥근벽의 갤러리

a gallery of round walls on a pylotti

대칭이 아니라 기둥 1개...

It's not symmetrical. It's a column.

들어가면 보이는 뷰. 다행히 내가 갈 때는 사람이 정말 없었다. (입장료는 10유로에서 학생할인을 받아 5유로였던 것 같다.)

The view you can see when you go in. Fortunately, there were really no people when I went. (The admission fee was €10 to €5 with a student discount.)

저 멀리 보이는 다이닝 룸.

Dining room over there.

수평창

Horizontal window

카메라가 색감을 담지 못해 아쉽다..

It's a shame that the camera can't contain the color.

테이블마저 멋스럽다..정말

Even the table is nice.Really

 

 

 

[ '건축적 산책로'의 시작 ]

홀의 왼쪽계단을 따라올라가면 갤러리이다. 2층에서 계단발코니를 길게 뽑아, 아트리움홀로 불쑥 튀어나오게 하여, 아트리움 둘레를 위아래 모두 조망할 수 있다. 층 현관 위의 브리지를 통해서 주거공간의 다이닝과 계단쪽으로 한바퀴 돌 수 있다. 아트리움을 중심으로 내부 공간을 음미할 수있다. 3층에도 개방복도가 있다. 갤러리쪽에서는 갤러리의 경사로를 이용해 3층 도서실로 올라오면 역시 아트리움을 내려다볼수 있다. 브릿지에 면한 대형 유리창을 통해 바깥풍경과 필로티위에 얹혀있는 갤러리의 하얀 곡면외벽도 볼수있다. 어디서나 볼 수있다. 내부는 물론 외부까지 집안에서 다 경험할 수 있다.

그래서 코르뷔는 이것을 "건축적 산책로' architectural promenade 라고 불렀다. 기존 전통의 보자르 건물에서는 경험할 수없는 것이다. 이런 개념은 동방여행시 그리스 지중해의 하얀 언덕마을 등 에서 경험한 건축과 공간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한다.

 

 

 

[ The Beginning of 'Architectural Trail' ]


If you follow the stairs to the left of the hall, you will find a gallery. From the second floor, you can take out a long staircase and pop out into the Atrium Hall, looking up and down at the Atrium. The bridge over the front door of the floor allows one turn to the dining and stairway of the living space. You can savor the interior space around the atrium. There is an open corridor on the third floor. From the gallery, you can also see the atrium overlooking the library on the third floor using the gallery's ramp. Through the large glass windows facing the bridge, you can also see the outside view and the white curved outer walls of the gallery on the Piloti. You can see it everywhere. You can experience the inside as well as the outside.

So Corbusier called it the "architectural trail" architectural promenade. It is something that cannot be experienced in traditional Beaux-Ar buildings. This concept is said to have been inspired by architecture and space experienced in the white hills of the Greek Mediterranean during the Eastern trip.

 

 

계단실의 돌출공간. 계단실 한 쪽이 벽면에서 떨어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an overhanging space in a stairwell You can see one side of the stairwell away from the wall.

디테일 컷.

Detail cut.

갤러리로 가는 길..

On my way to the gallery.

수평창으로 빛이 들어오는 구조. (정말 천장에 조명이 없었다..)

A structure in which light enters the horizontal window. (There was really no light on the ceiling.)

북측에 만들어진 고창과 조명 디자인과 피레 잔느레와 샤를로트 페리앙과 협업한 르 코르뷔제의 의자 LC3 ( 갖고싶다..)

I would like to have Le Corbusier's chair LC3 in collaboration with Gochang and lighting designs and Pirezannere and Charlotte Perian in the North.)

갤러리에서 서재로 올라가는 경사로.  경사로는 르코르뷔제가 가장 좋아하는 건축요소 중의 하나다.  계단은 공간을 분리시키지만 경사로는 공간을 묶어준다고 믿었다.  건축적 산책로의 수단으로 많이 쓰였다.  ​ *(뿐만 아니라 다른 건축가들에도 영향이 컸다고 한다.  브라질의 오스카 니메이어가 대표적이며  후에 미국의 리차드 마이어에게도 큰 영향을 주었다.)* ​

 

a ramp from the gallery to the study  The ramp is one of Le Corbusier's favorite architectural elements.  Stairs separate space, but ramps tie up space.  It was used a lot as a means of an architectural walk.  *(Not only did it affect other architects.  Oscar Niemeyer of Brazil was representative and later influenced Richard Meyer of the United States.)* ​

The exterior of the building was white, but 26 colors were used inside, so-called Le Corbusier's colors with low chroma.  They said they even cared about the color arrangement, but it was really sensuous even now.

건물 외부는 흰색이지만 내부에는 26개의 색상, 채도가 낮은 일명 르코르뷔제의 컬러가 사용되었다.  색상배치까지 신경썼다고 하는데 보면서 정말 지금봐도 감각적이였다.

The exterior of the building was white, but 26 colors were used inside, so-called Le Corbusier's colors with low chroma.  They said they even cared about the color arrangement, but it was really sensuous even now.

갤러리에 그림을 걸 수 있도록 레일이 설치되어 있다. 그림마저 신기하네..

A rail is installed to hang pictures in the gallery. Even the painting is fascinating.

걸레받이 디테일, 당시 걸레받이 높이가 15~30cm에 비하면 없는 것과 같다.

The details of the duster are similar to that of the duster at that time, compared to the height of the duster at the time, which is 15 to 30 centimeters.

열쇠구멍도 문에 직접 만든 걸 엿볼 수 있다.

You can also see that the keyhole was made directly on the door.

경사로를 올라가면 보이는 도서관과 그 안에 놓여있는 의자.

The library you can see up the ramp and the chairs in it.

창문은 개폐되는 곳과 고정창의 두께가 동일하다.

Windows have the same thickness as the opening and closing places.

올라가서 보는 갤러리 뷰

Gallery View Up

옥상으로!

 

To the roof!

[ 옥상 ]

동아시아 건축은 공간 안에서 밖의 풍경을 프레임을 통해 보는 건축 기법이 있었다. (예를 들면 정자 같은 곳, 차경) 서양에서 유일하게 르 코르뷔제가 이 방식을 최초로 도입했다고 한다. 과거 서양의 건축은 보는 오브제로써의 대상이었지만 동아시아 건축은 내부에서 들어가 '공간'을 느끼는 곳이며, 르꼬르뷔지에 이전의 서양 건축에는 '공간' 개념이 적극적으로 드러나지 않았다고,,, 메종 라 로슈에서 이 외부 풍경을 나눈 프레임을 어렵지 않게 확인할 수 있었다!

 

[ Rooftop ]
East Asian architecture had an architectural technique to view the landscape outside the space through a frame. It is said that Le Corbusier was the only Western Le Corbusier to introduce this method for the first time. In the past, Western architecture was the object of viewing, but East Asian architecture was the place to enter and feel 'space' and the concept of 'space' was not actively revealed in Le Corbusier's previous Western architecture. It was easy to see the frame of this landscape in La Roche, Maison!

 

옥상에서 바라보는 건물 / 자신의 옥상에서 자신의 건물을 바라보는 기분은 어떨까...

The building you see from the roof / How does it feel to look at your building from your own roof?

화장실

Washroom.

 

 

근대 예술이나 건축을 보는 관점 중에 생각해 볼 만한 것은, 지금 보면 별 거 아닌 것 같아 보일 수 있다는 것이다. 그 당시 획기적이거나 영향력있던 것들이 시간이 지나면서 현재 우리의 일상 속에 많이 녹아져있기 때문에 우리의 관점으로 볼 때 별 거 아닌 것처럼, 흔해 보일 수 있다.

라 로슈는 필로티와 옥상정원, 가로로 긴 창과 자유로운 입면, 평면, 특히 라 로슈의 갤러리는 빛을 조절하기 위해 높은 가로로 긴 창을 두었고, 내부를 돌아보며 벽과 창의 구조의 형태와 갤러리 공간과 다이닝룸의 색채가 인상깊었다. '건축산책'이 무엇인지 공간의 미학이 무엇인지 느낄 수 있는 좋은 경험이었다:)

 

 

One thing to think about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 art or architecture is that it may seem insignificant now. Things that were innovative or influential at the time may seem common from our point of view, as they are now much melted into our daily lives over time.

La Roche had Pilotti, rooftop garden, long horizontal windows and free standing, and a high horizontal window, especially La Roche's gallery to control the light, and looking inside, the shape of the walls and window structure, and the color of the dining room were impressive. It was a good experience to feel what 'architectural walk' is and what the aesthetics of space 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