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rip

[ Unité d'Habitation ] 유니테 다비타시옹 / 1

 

 

 

유럽여행 전부터 계획했던 유니테 다비타시옹에서 하루 묵기였다. 공동주택의 시초가 된 르 코르뷔지에의 유니테 다비타시옹으로 시작했다.  마르세유에 위치한 것이 대표적으로 알려져있지만, 베를린과 낭트에도 있다.

 

하지만 호텔로 이용되고 있는 곳은 마르세유 뿐이다. 원하는 날짜에 묵을 수 있는 방이 에어비앤비밖에 없어 에어비앤비로 결정하고 마르세유로 향했다. 

 

It was a one-day stay in Unite Davitasion, which was planned even before the trip to Europe. It began with Le Corbusier's Unite Davitasion, which was the beginning of the apartment.  It is known for its location in Marseille, but it is also in Berlin and Nantes.

However, Marseille is the only hotel used. Airbnb was the only room available for the desired date, so we decided to stay with Airbnb and headed to Marseille.

 

 

[ Corbusier Haus/ Le Corbusier.  2020.01.07 유니테 다비타시옹 방문기 ]

 

[Corbusier Haus/Le Corbusier. 2020.01.07 Unite Davitacion Visitor ]


 

[ 공동체에 대한 Le Corbusier의 Unite d'Habitation ]

 

 

 

1954년 프랑스 정부는 2차 세계대전 종결직후 심각한 주택난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자금을 대는 '개별적인 치장을 하지 않은 아파트(Immubles sans affectation indiciduelle, ISAI) 계획을 실행한다. 당시 재건설과 도시계획부 장관직에 있던 기술관료인 Raoul Dautry는 르 코르뷔지에게 마르세유의 건물 중 하나를 지어 달라고 의뢰를 한다. 르 코르뷔지에게 2차세계대전 동안 긴 휴식기에 접어들었던 활동을 다시 시작하고 그동안 생각해왔던 집합주택에 대한 개념, 이를 실현하기 위한 기술의 실현, 나아가 사회적 연구 및 도시계획의 혁신을 동시에 적용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였다. 

 

하지만 그가 유니테 다비타시옹을 건설하는 과정이 순탄했던 건 절대 아니었다. 수많은 반대와 비판에도 불구하고 가장 큰 힘을 실어준 사람은 프랑스 부흥상 유제느 크라우디우스 푸치였다. 그는 다른 모든 권력자들의 반대를 물리치고 르 코르뷔지에의 계획을 최대한 지원했다. 1945년 르 코르뷔지에는 23가지의 다른 평면으로 220가구를 조합하여 1920년대 이후부터 도시생활에 관하여 주장했던 모든 것의 집대성을 완성하였다. 

 

많은 사람들이 함께 생활하는 집합주택에서 미묘한 균형을 이루어야 하는 부분은 바로 사적영역의 확보와 이웃간의 교류다. 자칫 대립적으로 보이는 이 두 영역에 대한 르 코르뷔지에의 고민은 집합주택과 도시에 대한 그의 고민이 시작됐던 1920년대부터 계속됐다. 유니테 다비타시옹에서는 지금까지 유럽에서 복도형 가로와 건물로 둘러싸인 광장의 형태로서의 공공공간이 아닌 필로티로 개방된 지층공간과 옥상정원 그리고 건물 중앙에 배치된 상업시설이라는 다른 형태로 제시되었다. 

 

또한 지금까지 시도되지 않않던 새로운 평면과 유닛의 조합이 유니테 다비타시옹에서 실현되었다. 23가지의 다른 평면이 존재하지만 유니테 다비타시옹의 기본 유닛은 수직적으로 ㄴ과 ㄱ자형태가 ㅁ자로 조합되는 방식이다. 물론 내부공간이 지나치게 길어서 발생하는 문제와 마스터룸에서 메자닌층이 생기면서 발생하는 불합리한 점 그리고 ㅁ자 조합으로 만들어지는 내부 복도의 어두움 등의 단점들이 지적되기는 하지만 한정된 입면과 메스에서 각 세대에게 지중해의 태양을 최대한 고루 배분하고 자연환기 등 르 코르뷔지에가 의도했던 부분을 지금까지 살아보지 못한 새로운 공간을 통해 제시했다는 데는 상당한 의미가 있다. 

 

 

 

In 1954, the French government implemented a government-funded Immunized Apartments (ISAI) plan to address serious housing shortages shortly after the end of World War II. Raoul Dautry, a technical official who was then minister of reconstruction and urban planning, commissioned Le Corbusier to build one of the buildings of Marseille. It was a great opportunity for Le Corbusier to resume his long break during World War II and apply both the concept of multi-family housing, the realization of technology to realize it, and the innovation of social research and urban planning. 

However, it was never smooth for him to build the Unite Davitasion. Despite numerous objections and criticisms, it was the French revivalist Eugéne Claudius Pucci. He defeated the opposition of all the other powers and gave full support to Le Corbusier's plan. In 1945, Le Corbusier combined 220 households in 23 different planes to complete the aggregation of everything he had claimed about urban life since the 1920s. 

The delicate balance of collective housing where many people live together is the securing of private areas and exchanges between neighbors. Le Corbusier's agony over the two seemingly confrontational areas continued in the 1920s when his concerns about multi-family housing and cities began. So far, the Unite Davitasion has been presented in Europe as a form of corridor-type streets and buildings, in a different form: open-story, rooftop gardens, and commercial facilitie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building, not as opposed to public spaces. 

In addition, a new combination of planes and units that have never been attempted before was realized in Unite Davitacion. There are 23 different planes, but the basic unit of Unite Davitacion is a vertical combination of the letter "fi" and "fi". Of course, the disadvantages of too long interior space, the irrationalities of the mezzanine layer in the master room, and the darkness of the inner corridor created by the M-shape combination are pointed out, but the limited elevation and scalpel have given Le Corbusier a new space that he has never intended.

 

Unité d'Habitation

 

 

 

르 코르뷔지에(Le Corbusier, 1887~1965)는 20세기 현대건축의 아버지라고 불린다. 20세기 건축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는데 1,2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좁은 면적으로 많은 사람들을 수용할 건축이 필요해졌다. 이 시기에 처음으로 아파트라는 개념이 도입되었는데 현재 우리가 살아가는 아파트와는 조금 다른 개념이다.

 

.

르꼬르뷔지에가 만든 세계 최초의 아파트(공동주택) '유니테 다비타시옹(Unite d'Habitation)'은 1947년~1952년 동안 만들어졌으며

사람을 향한 그의 고민이 담겨있는 공간이다. 현재 일부 호텔로 개방하고, 여전히 주민들의 주거공간으로 사용되고 있다.

 

'제한된 자원으로 어떻게 하면 사람이 효율적으로 지낼 수 있을까' 고민하던 르꼬르뷔지에는 '모듈러 이론'을 제안한다.

 

 

 

Le Corbusier (1887–1965) was the father of modern architecture in the 20th century. There were many changes in architecture in the 20th century, and throughout World War I and II, architecture was needed to accommodate many people in a narrow area. At this time, the concept of apartments was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and it is a little different from the concept of apartments we currently live in.

.
The world's first apartment built by Le Corbusier called "Unite d'Habitation" was built between 1947 and 1952.
It is a space that contains his worries for people. It is currently open to some hotels and is still used as a residential space for residents.

Le Corbusier, who was thinking about "how can a person live efficiently with limited resources," proposes a "modular theory."

 

 

 

더 저렴한 비용으로 최소한의 공간을 활용해 최대 효과를 내기 위해 르꼬르 뷔지에는 많은 고민을 했다. 그 기준을 사람의 몸을 잡고 '몸'을 기준으로 사람이 팔을 들어올린 높이가 건축의 핵심이 되었고 최적의 수치는 연구의 목표가 되었다. 그 결과 유니테 다비타시옹에는 183cm 키의 남성을 기준으로 팔을 들어올린 높이 226cm의 모듈러가 적용되었다. 모듈러 이론은 르꼬르뷔지에를 대표하는 건축 철학이 되었다.

 

Le Corbusier had a lot of thought to make the most of the space at a lower cost. The height of a person's arms raised based on the "body" holding the human body became the core of architecture, and the optimal figure became the goal of the study. As a result, the Unite Davitasion was equipped with a 226-centimeter-high modular arm lift based on a 183-centimeter tall man. Modular theory became the architectural philosophy representing Le Corbusier.

 

유니테 다비타시옹에는 원색이 많이 사용되었다. 빨강, 초록, 노랑, 파랑 외부처럼 내부에도 원색이 주로 사용되는데 지금봐도 전혀 촌스럽지 않았다!

 

Many primary colors were used in the Unite Davitasion. Red, green, yellow, and blue, primary colors are used inside as well, but it was not tacky at all!

 

엘레베이터를 타고 숙소가 있는 5층으로 향했다.  복도가 낮임에도 불구하고 굉장히 어두워서 당황했다. 문위에 달려있는 불빛들! 

Have any accommodation and take the elevator headed to the fifth floor.  The hallway is very dark, even though the day and embarrassed. The light depends on the door!

숙소 주인이신 할머니께서 최대한 인테리어를 하지 않고 보존하려고 하신 노력이 보였다.  거의 70년 되어가는 건물이 맞긴 한가보다 싶었다. 걸을 때마다 삐걱거리는  마루바닥,,,과 화장실! 과 부엌,,,을 보면 알 수 있었다. 

My grandmother, who is the owner of the accommodation, tried to preserve it without decorating it as much as possible.  I thought it was a building that was almost 70 years old. The floor creaks every time I walk... and the bathroom! I could tell by looking at the kitchen and the fruit.

복도

hallway

벽에 뭔가 싶었는데 전등인 것 같았다.

I was wondering something about the wall, but it seemed like an electric light.

채광이 정말 좋았다. (낮 시간이 좀 지나서 해가 많이 들지는 않았지만!)

The lighting was really good. (Although it didn't get too much sun after some time!)

 

 

 

옥상으로 가는 길

the way to the roof

 

 

 

이야기는 2편에서 계속.


The story continues in the second installment.